청년도약계좌에 대해 알아보고 있나요? 일반 적금 연 금리 최대 10.19%와 혜택 금액 최대 800만 원에 달하는 효과를 누릴 수 있는 정보가 여기에 있습니다. 본 포스팅에서 청년도약계좌의 가입조건, 금리, 기여금 지급구조, 신청방법 등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청년도약계좌란?
청년도약계좌란 청년층을 대상으로 자유납입형 적금에 정부 기여금을 보태고 비과세 혜택을 입힌 정부 정책 금융상품입니다. 월 70만 원씩 5년간, 최대 5천만 원의 목돈을 손에 쥘 수 있다고 홍보되고 있습니다. (만기: 5년, 월 최대 납입금액 70만 원)
가입자의 소득과 납입 금액에 따라 정부 기여금이 매칭되며, 월 납입액과 기여금에 붙는 이자에 비과세가 적용되는 것이 특징입니다. 2023년 6월 15일부터 운영을 개시하고 11개 취급은행의 앱(App)을 통해 비대면으로 가입신청을 받습니다.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
가입조건으로는 연령과 개인소득 그리고 가구소득이 있습니다.
모두 만족해야 하고 직전 3개년도 중 1회 이상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가 아니어야 합니다. (이자소득과 배당소득의 합이 2,000만 원을 초과하는 경우)
연령 요건
계좌 개설일 기준 만 19~34세 (병역이행기간 참작 / 최대 6년)
개인소득 요건
연 소득 7,500만 원 이하
직전 과세기간(2022년) 총 급여 6.000만 원 이하면 정부 기여금과 비과세 혜택이 주어지며, 6.000만~7,500만 원 구간이면 비과세 혜택만 주어집니다. 총급여가 7,500만 원을 초과하면 가입이 제한됩니다.
직전 과세기간 총 급여 | 6천만 원 이하 | 6천만 ~ 7천 5백만 원 |
혜택 | 정부 기여금 + 비과세 | 비과세 |
가구소득 요건
가입자를 포함한 가구원의 총소득이 중위소득 180% 이하
구분 | 2021 중위소득 180% | 2022 중위소득 180% |
1인 | 3,290,095 | 3,500,661 |
2인 | 5,558,542 | 5,868,153 |
3인 | 7,171,110 | 7,550,461 |
4인 | 8,777,322 | 9,217,944 |
청년도약계좌 금리
청년도약계좌의 금리는 은행별 기본금리 + 은행별 우대금리 + 저소득층 우대금리로 구성됩니다.
만기 5년 중 최초 3년은 고정금리, 이후 2년은 변동금리가 적용됩니다.
은행별 기본금리는 메이저 취급은행들이 4.50%이고, 은행별 우대금리는 최대 1.00% 정도이며, 개인소득이 2,400만 원 이하이면 0.50%의 추가 우대금리(저소득층 우대금리)를 받습니다.
최대 금리 예: 4.50% + 1.00% + 0.50% = 6.00%
[은행별 금리]
은행 | 기본금리 | 우대금리(최대) | 저소득층 우대금리 |
신한 | 4.50% | 1.00% | 0.50% |
우리 | 4.50% | 1.00% | |
하나 | 4.50% | 1.00% | |
IBK | 4.50% | 1.00% | |
국민 | 4.50% | 1.00% | |
NH | 4.50% | 1.00% | |
대구 | 4.00% | 1.50% | |
부산 | 4.00% | 1.50% | |
광주 | 3.80% | 1.70% | |
전북 | 3.80% | 1.70% | |
경남 | 4.00% | 1.50% |
*은행별 우대금리의 자세한 내용은 급여이체, 카드실적, 마케팅동의, 자동이체, 예적금 미보유, 첫 거래 우대, 공과금, 신규고객 등 매우 다양하며 각 은행 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단, 최대 우대금리를 받는 가입자는 많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청년도약계좌 기여금 지급구조
개인소득 수준과 납입한 금액에 따라 정부 기여금이 달라지는데, 일반적으로 소득이 낮을 수록 기여금이 많아지는 구조입니다.
[청년도약계좌 기여금 지급구조]
개인소득 | 납입한도 (월) |
기여금 매칭 대상액 (월) |
기여금 매칭 비율 | 최대 기여금 (월) |
총 급여 2,400만 이하 종합소득 1,600만 이하 |
70만 | 40만 | 6.0% | 2.4만 |
총 급여 3,600만 이하 종합소득 2,600만 이하 |
50만 | 4.6% | 2.3만 | |
총 급여 4,800만 이하 종합소득 3,600만 이하 |
60만 | 3.7% | 2.2만 | |
총 급여 6,000만 이하 종합소득 4,800만 이하 |
70만 | 3.0% | 2.1만 | |
총 급여 7,500만 이하 종합소득 6,300만 이하 |
- | - | - |
청년도약계좌 최대 혜택
은행금리를 최대한으로 받고 월 70만 원씩 납입했을 때 최대 효과는 아래 표와 같습니다.
총 급여 | 2,400만 이하 | 3,600만 이하 | 4,800만 이하 | 6,000만 이하 | 7,500만 이하 |
납입액 | 4,200만 | ||||
납입액 이자 | 640만 | 587만 | |||
정부기여금 | 144만 | 138만 | 132만 | 126만 | - |
기여금 이자 | 16만 | 15만 | 14만 | 13만 | - |
총 수령액 | 5,000만 | 4,938만 | 4,931만 | 4,924만 | 4,787만 |
혜택금액 | 800만 | 738만 | 731만 | 724만 | 587만 |
일반적금비교 (금리) |
8.86% | 8.19% | 8.12% | 8.05% | 6.50% |
정부 기여금은 기여금 개인소득에 따라 매칭 대상액이 다르기 때문에 다음과 같이 최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총 급여 | 2,400만 이하 | 3,600만 이하 | 4,800만 이하 |
월 납입액 | 40만 | 50만 | 60만 |
총 납입액 | 2,400만 | 3,000만 | 3,600만 |
납입액 이자 | 366만 | 419만 | 503만 |
총 정부기여금 | 144만 | 138만 | 132만 |
기여금 이자 | 16만 | 15만 | 14만 |
총 수령액 | 2,925만 | 3,572만 | 4,249만 |
혜택 금액 | 525만 | 572만 | 649만 |
일반적금비교 (금리) |
10.19% | 8.87% | 8.39% |
* 정부 기여금 외에도 3년 이상 가입을 유지하는 경우 납입액(연 최대 600만 원)의 40%를 소득공제받을 수 있습니다. (최대 5년)
* 청년내일저축계좌는 내일채움공제 및 지자체 상품에도 동시에 가입이 가능합니다.
청년도약계좌 신청 방법
2023년 6월 15일부터 상기 11개 취급은행의 앱(App)을 통해 영업일(오전 9시 ~ 오후 6시 30분)에 비대면으로 가입신청이 가능합니다.
6월에는 15일부터 23일까지 신청하며 첫 5 영업일에는 출생연도에 따라 5부제를 실시합니다.
[가입 신청]
가입 | 6.15 | 6.16 | 6.19 | 6.20 | 6.21 | 6.22~ 23 |
출생연도 끝자리 |
3, 8 | 4, 9 | 0, 5 | 1, 6 | 2, 7 | 모두 |
2023년 7월부터는 매월 2주간 가입신청 기간을 운영하며 세부일정은 서민금융진흥원 홈페이지에서 안내합니다.
*청년도약계좌와 청년희망적금 중복 가입
청년도약계좌와 쳥년희망적금은 동시에 가입이 불가능하며, 청년희망적금을 해약하고 청년도약계좌로 갈아타는 것은 매우 신중을 기해야 합니다. 청년희망적금을 만기해지 했을 때 우대금리를 받을 수 있는 은행이 있으며, 청년도약계좌는 만기가 5년이어서 가용 자금이 묶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청년도약계좌 궁금한 점 Q & A
Q: 개인소득이 없는 청년도 가입할 수 있나요?
A: 소득이 없거나 소득금액 증명이 불가능할 경우에는 가입할 수 없습니다.
Q: 가입조건을 충족하는 가구일 경우 부부가 각각 가입이 가능하나요?
A: 네, 청년도약계좌는 가입조건을 충족하면 가구당 계좌 개설의 제한이 없습니다.
Q: 직업이나 회사 규모 등에 따라 가입이 제한되나요?
A: 아닙니다. 가입 여부는 연령, 개인소득, 가구소득으로 판단합니다.
Q: 가입 이후 소득이 증가하면 취소되나요?
A: 아닙니다. 가입 후의 소득 증가는 자격에 영향을 끼치지 않습니다.
Q: 매월 70만 원씩 납입해야 하나요?
A: 아닙니다. 자유적립식 상품이어서 최대 70만 원 이내에서 자유롭게 납입합니다.
Q: 중도해지 하는 경우 지원이 없어지나요?
A: 해지사유가 특별중도해지 요건이면 정부 기여금이 지급되며, 이자 비과세도 적용됩니다.
(가입자의 사망/해외이주, 가입자의 퇴직, 사업장의 폐업, 천재지변, 장기치료 필요한 질병, 생애최초 주택구입)
마치며
청년도약계좌는 청년의 중장기 자산형성을 위해 정부에서 야심 차게 출시한 정부 금융상품입니다. 본인이 납입한 금액에 정부 기여금이 합해지고 비과세 혜택도 볼 수 있으며 금리 또한 괜찮아 보입니다.
하지만 5년이라는 만기 기간이 누군가에겐 너무 길 수 있으며 우대금리를 충족하기가 쉽지 않아 보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같은 성격의 시중 은행의 상품보다는 비과세 측면에서 가입하는 것이 무조건 유리합니다.
장기적인 플랜을 세워 미래를 대비하시기 바랍니다.
2023.06.14 - [유용한 정보] -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조건과 신청방법 정리-중소기업 청년채용 혜택
2023.05.04 - [유용한 정보] - 청년월세 한시 특별지원 자격조건 알아보기
2023.04.19 - [유용한 정보] - 청년내일저축계좌 자격조건 및 신청방법